2012년 8월 29일 수요일

금빛 사막과 은빛 호수가 만나는 곳







[한겨레] [매거진 esc] 중국 고대문명과 이슬람 문화, 황허와 사막이 어우러진 인촨 여행

이국적인 풍경을 찾아 여행자들은 먼 곳으로 떠나기를 꿈꾼다. 사막은 그 가운데서도 더욱 설레게 한다. 무수한 생명이 그곳에 살고 있지만, 우리는 그곳에서 황량함 또는 공포스러움을 느끼곤 한다. <어린 왕자>를 쓴 생텍쥐페리가 사막 어딘가에서 추락해 아직도 그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더라 하는 식의 이야기를 들으면 호기심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끼게 된다.

그런 사막이 아주 먼 곳 이야기인 줄로만 알았다. 가장 가까워도 몽골까지는 가야 할 줄 알았다. 그런데 비행기 3시간, 차 3시간을 타고 가면 이색적인 사막 풍경을 만날 수 있다. 바로 중국 닝샤후이족자치구로 떠나면 된다. 닝샤후이족자치구의 성도인 인촨은 사막뿐 아니라 중국 내에서도 이색적이고 이국적인 풍경으로 가득하다. 중국의 고대 문명과 이슬람 문화, 황허(황하)와 사막, 실크로드의 흔적까지 여행할 수 있다.

텅거리 사막 시작되는

사포터우 관광구

모래썰매·황허 래프팅


중국인에게는 10대 관광지로 알려져 있지만, 외국인에게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중국 인촨 일대 여행지. 특히 텅거리 사막이 시작하는 지점의 사포터우 관광구와 사후(沙湖)까지 모래와 인연이 많은 곳이다. 사막 여행의 특별함은 그 장관을 그저 바라보는 데 있지 않다. 모래의 금빛 물결은 인간이 자연 앞에 얼마나 미약한 존재인가를 때로는 깨닫게 한다. <사막을 건너는 여섯가지 방법>이라는 책은 소개한다. 어떤 원주민 문화에서는 성년식으로 젊은이 혼자 사막을 헤매고 다니게 한다. 그리하여 자신이 어떤 사람인가를 확인하게 한다는 것이다. 수많은 다른 여행객 틈바구니에서 그런 생각 할 여유가 생길까 싶다. 하지만 뜨거운 사막의 모래 위에 가만히 앉아 있는 10분만의 시간을 갖더라도 자연 속의 명상을 경험할 수 있다. 게다가 아직 텅거리 사막은 지나친 개발붐에서 한발 비켜서 있다. 그곳을 횡단하는 도로와 철도가 있지만 관광객보다는 화물을 실어 나르느라 바쁘다.

그나마 북적대는 사막의 초입 사포터우 관광구에는 다양한 사막 속 놀거리가 펼쳐진다. 무엇보다 탈것들이 즐비하다. 낙타, 세그웨이(바퀴 두개로 가는 간단한 탈것), 사막에서 거친 운전을 경험할 수 있는 지프차 체험에, 청룡열차 같은 재미를 주는 오프로드 체험까지. 사포터우 관광구에는 바로 옆에 강과 산이 있다. 사막 하면 당연히 떠오르는 분위기가 아니다. 모래썰매를 타고 사막이 있는 곳에서 강 옆으로 내려간다.

마치 눈썰매를 타는 기분이지만, 모래는 처음이니 더욱 긴장감이 느껴졌다. 썰매를 타고 내려가면 있는 강은 다름 아닌 황허이다. 누런 물빛이 그 이름을 증명한다. 강가로 가면 양가죽에 바람을 넣어 9개 정도를 엮어 뗏목으로 만든 배가 등장한다. 황허 래프팅을 할 수 있는 기회이다. 구간은 10분 안팎으로 짧지만, 몸을 함부로 움직이면 안 될 정도로 조심해야 한다. 그만큼 스릴 넘치는 것은 덤이다.

인촨 시내에서 더욱 가까운 모래와 호수가 있는 여행지도 있다. 사후이다. 모래 호수를 뜻하는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텅거리 사막 등에서 불어온 모래가 호숫가에 쌓여 만들어진 곳이다. 그래서 넓은 호수가 먼저 눈에 들어온다. 인촨(은천), 한문으로는 ‘은빛 물’이라는 뜻이다. 이 이름 역시 인촨 주변 72개 호수에 은빛으로 반사되는 물의 모습을 담은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모래 둔덕과 호수, 갈대와 사람들이 어울려 있다. 실제로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사후의 일몰은 중국인 여행자들이 가장 아름답다고 꼽는 ‘일몰’ 풍경 가운데 하나이다.

고대제국 서하와

1000년 역사 이슬람문화 등


이국적 볼거리 가득


인촨 일대는 배산임수 지형을 갖추고 있다. ‘임수’는 앞서 언급한 황허, ‘배산’은? 허란산으로 들어가는 길 초입 곳곳에 검정 무더기들이 여기저기 쌓여 있다. ‘석탄’이다. 허란산의 풍모는 바위산으로 기이한 편이다. 울창하게 나무가 우거진, 흔히 봐오던 산이 아니다. 그 바위산 주변과 그 안에는 다양한 광물 자원의 보고이다. 벼루를 만드는 데 쓰이는 허란석도 유명하다. 지금은 채굴이 금지되어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기념품을 파는 곳에서 허란석으로 만든 벼루들이 팔린다.

허란산에는 ‘암각화 지대’가 있다. 깊숙한 계곡으로 들어가면 그 일대 판판한 바위 위에 암각화(바위를 깎아낸 것)와 암염화(바위에 색을 입힌 것)가 즐비하다. 6000여점이나 몰려 있다. 주로 1만~30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이다. 대부분은 동물이나 얼굴 상 등이 많았다. 이곳을 안내한 가이드는 “아마 고대인들이 일기 또는 여가의 목적으로 암각화를 새긴 게 아니냐 하는 학설들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허란산에서 30분 정도를 차로 달리면, 또다른 문명이 우리를 반긴다. 고대 제국 서하다. 1000여년 전 중국 서남부 쓰촨에서 살던 유목민 탕구트족이 만든 고대 왕조로 알려져 있다. 당시 득세했던 티베트인, 즉 토번족의 등쌀에 인촨 인근까지 밀려온 민족이다. 본래는 유목생활을 했으나, 허란산이 있는 인촨 인근에 정착했다. 탕구트족은 이원호 왕을 추대했고, 이들은 송나라가 있었음에도 당당히 제국을 세웠다.

독특한 것은 한문을 갖고 그들 나름대로 서하어도 만들었다는 것이다. 문자까지 창제한 이원호는 황제의 자리에 올랐고, 서하 제국은 흥했다. 그러나 그 역사는 짧았다. 1227년 몽골 제국에 처참히 멸망당했다. 허란산맥 아래 자리잡은 서하왕릉의 모습은 그들의 역사만큼이나 을씨년스럽지만, 왠지 깊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을 것 같은 느낌이다. 장안과 서역을 오가며 실크로드의 요충지가 되었던 서하 제국은 중국 역사에 거의 흔적이 없을 정도이다.

‘닝샤후이족자치구’라는 이름 가운데 후이족은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들’, 즉 무슬림을 뜻한다. 인촨 곳곳에서 둥근 지붕 위로 뾰족한 첨탑이 있는 이슬람 사원들이 곳곳에 있다. 닝샤후이족자치구 인구의 3분의 1인 약 2000만명은 중동 지역에 뿌리를 둔 민족이다. 이들은 무슬림 문화를 고수하고 있다. 이들이 중국에 정착하게 된 계기는 따로 있다. 1000~1400여년 전, 당나라 시절 중동 지역의 아라비아 제국과 전쟁이 있었다. 이때 중국으로 왔다가 돌아가지 못한 병사와 상인들이 닝샤 쪽에 정착했고, 이들이 현재 후이족의 조상이 된 것이다.

후이족의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인촨 중화회향문화원이다. 머리카락부터 발목까지 몸 전체를 옷감으로 감춘 전통 의상을 입은 안내자가 여행자들을 이끌었다. 문화원은 박물관, 이슬람 사원, 공연장 등을 함께 갖춘 곳이다. 박물관에는 후이족이 전파시킨 코란, 향로, 민속 문화, 독특한 문자 등을 전시해 놓았다. 이슬람 사원에 들어갈 때는 ‘여성들은 눈 이외에는 다 가려야 하고 남성도 배꼽부터 무릎까지는 드러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 관광객도 예외 없다.

인촨(중국)=글·사진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travel tip

직항 예약 확인은 필수

인천국제공항에서 중국 인촨국제공항까지 직항로가 개설되어 있다. 진에어가 취항을 시작해 운영중이다. 아직 국내 여행자들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은 여행지라는 것은 장점이기도 하고 단점이기도 하다. 정기적으로 운영한다는 직항 항공편이 변경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취항 운항사인 진에어의 전화(1600-6200)와 누리집(jinair.com)을 통해 관련 정보를 꼼꼼하게 챙겨봐야 한다.

중국 정부는 관광지의 등급을 매기는데 5A급은 가장 높은 등급이다. 인촨에서 1시간 정도 차로 달리면 ‘서부영화 세트장’이 있는데 이곳 역시 5A급 관광지이다. 다만, 중국 정부가 매겨놓은 것과 개인의 감상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자. 중국 영화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추천할 만하다. 장이머우(장예모) 감독의 <붉은 수수밭> 등을 이곳에서 찍었다.


중국 닝샤후이족자치구 인촨시에서는 거의 매해 ‘중국 인촨 국제 자동차&모터사이클 관광제’(사진)가 열린다. 올해로 10회째를 맞았다. 2000여명의 드라이버와 모터사이클 라이더가 참가해 퍼레이드와 사막 랠리, 산악 크로스컨트리 랠리 등을 인촨시 곳곳에서 펼친다.





<한겨레 인기기사>

■ 짐은 박리자베스, 나는 안스펠트

■ 고래상어 죽은 수족관서 쥐가오리도 폐사

■ 목에 밧줄을…재난 방송 아닌 종편의 “자해 방송”

■ 늘 뺏기는 아이는 자신감이 없어서 일까

■ 분노 쌓는 절망은둔자들 “죽고 싶다, 죽이고 싶다”

■ 김성근, 한화 감독 안 간다

■ [화보]태풍 볼라벤 북상으로 전국에 피해 속출



공식 SNS [통하니] [트위터] [미투데이] | 구독신청 [한겨레신문] [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