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산 자락의 초암사에서 달밭골로 이어지는 습기 머금은 촉촉한 숲길은 내내 죽계계곡을 따라간다. 어둑한 숲속 계곡에서는 잦은 비로 불어난 물이 바위를 타고 넘으며 부챗살처럼 퍼지고 있다. 계곡을 끼고 부드러운 오르막을 따라가는 길의 정취가 어찌나 빼어난지, 금세 끝이 날까싶어 조바심이 난다. |
무릇 유교문화에서 ‘선비’라 함은 ‘대의를 위해서라면 목숨을 아끼지 않는 대쪽처럼 곧은 이들’을 말합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유교의 가장 높은 가르침인 인(仁)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목숨도 기꺼이 내놓았습니다. 조선을 관통하는 시대정신이 바로 이런 ‘선비정신’이었습니다.
그런 정신의 자취가 오롯이 살아 있는 곳이 바로 경북 영주 땅입니다. 그곳에는 제 한 몸 편코자 염치를 버리지 않고, 안빈낙도와 청렴을 몸소 실천했던 비장하고 고결한 선비의 정신이 깃들어 있습니다. 세조가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의 자리에 오르자 죽음을 각오하고 비장하게 맞섰던 선비들의 피의 역사가 있습니다. 도(道)가 아니라면 죽음까지 기꺼이 받아들였던 서릿발 같은 정신을 가진 선비들의 땅 영주. 거기에 우리 땅 최초의 서원이 있고, 퇴계가 드나들었으며 훗날 선비촌이 들어서게 된 것도 다 우연은 아니지 싶습니다.
여름의 끝에 영주로 향합니다. 선비들이 흘린 피가 강물이 돼 삼십 리를 흘렀다는 순흥의 고을을 거쳐 유배된 조카 단종을 다시 왕으로 세우기 위해 형 세조에 죽음을 각오하고 맞섰던 금성대군의 죽음의 자리에도 들르고, 단종을 태백산의 산신으로, 금성대군을 소백산의 산신으로 모시고 있다는 깊은 산중의 서낭당에도 들렀습니다. 숨가쁜 역사의 순간에 밀서를 들고 소백산을 넘나들었을 선비들의 비밀스러운 자취를 쫓아 고치령과 마구령을 타고 넘으며, 정감록의 십승지지로 꼽히는 금계와 의풍마을까지 둘러봤습니다. 전날 내린 비로 불어난 계곡물 소리를 들으며 퇴계의 소백산 유람길을 쫓아 ‘죽계구곡’의 촉촉한 숲길을 딛기도 했습니다.
소백산을 끼고 있는 영주 땅에는 지금은 흐려졌지만 도합 여섯 곳의 ‘구곡(九曲)’이 있었답니다. 아시다시피 ‘구곡’이란 중국 남송의 성리학자 주희가 무이산 계곡의 아홉 굽이 경치를 읊은 ‘무이구곡가’를 본떠 만들어진 것입니다. 서른여섯 봉우리와 아흔아홉의 동굴이 있다는 무이산은 절경이었겠지만, 무이구곡가는 그저 풍경의 아름다움만 말하지는 않습니다. 빼어난 자연경관을 통해 성리학을 공부하는 단계적 과정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예의와 염치를 아는 ‘선비’가 되는 과정이 아름다운 풍경 속에 숨겨져 있다는 얘기지요.
아마도 눈이 흐려서 그랬겠지요. 촉촉하게 비로 젖은 죽계구곡에서, 운무가 넘실거리던 고치령과 마구령의 숲길에서는 그저 감탄만 토해낼 뿐이었습니다. 서릿발 같은 정신으로 그 길을 디뎠을 옛 선비들의 발자취 정도만 어림잡아 짐작할 따름이었습니다. 그렇게 길을 걷는 내내 따라오던 물음이 하나 있었습니다. 일신의 안위를 구하지 않고, 이재(理財)에 티끌만큼도 흔들리지 않는 대쪽 같은 선비들은 이제 다 사라지고 없는 것일까요.
영주 = 글·사진 박경일 기자 parking@munhwa.com
[많이 본 기사]
- ▶ 32세 장나라 매니저, 中서 심장마비 사망 ‘충격’
▶ 치마속 10만장…목사도 장교도 ‘우린 몰카族’
▶ ‘안철수 룸살롱’, 때아닌 실시간 검색 1위 왜?
▶ “꺼꾸로 봐도 똑같은 글자 신기해”
▶ <스타 앤 조이>김새론 “이번 영화도 19금… 전 또 못봐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