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덕현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뉴잉글랜드저널 오브메디슨(NEJM IF=53.5)'에 '심내막염 치료에 대한 조기 수술과 관습적 치료법의 비교'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심장판막에 염증을 유발해 높은 사망률과 심각한 후유증을 발생시키는 심내막염에 관한 치료법을 제시한 것으로, 심내막염 환자의 치료를 기존 '항생제 투여와 증상 치료'에서 진단 후 48시간 안에 수술을 시행하는 '조기 적극 수술'로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심내막염 치료는 그동안 세계적 의학자들 사이에서도 명확한 기준이 없었고 치료법이 불분명해 논쟁과 고민을 거듭하던 난제였다.
심내막염은 혈관을 따라 돌던 세균이나 곰팡이 같은 미생물이 적절히 제거되지 못하고 손상된 심장판막에 달라붙어 감염을 일으켜 발생하는 질환이다. 심장 판막에 세균 덩어리와 혈전(핏덩어리)을 형성하고 심부전, 색전증을 유발해 높은 사망률과 심각한 후유증을 남긴다.
특히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히는 색전증은 뇌졸중을 비롯해 심근경색증, 대동맥류 등을 발생시키며, 심내막염으로 인한 가장 큰 사망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지금까지 심내막염의 치료법은 4주 내외의 항생제 주사를 통해 원인이 되는 세균을 제거하고 이후 상황에 따라 수술을 하는 방법이었다. 조기 수술은 감염된 심장판막에 더 큰 부담을 준다는 생각에 거의 시행되지 않았으며, 실제 치료 방향과 과정도 의료진의 개인적 판단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강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심내막염 환자는 진단 후 48시간 이내에 조기 수술을 해야 사망률 등 합병증 발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심내막염 발생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색전증 발생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에 조기 수술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 교수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진료를 받은 심내막염 환자 76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상태를 추적 관찰했다. 이 중 37명은 강 교수의 새로운 치료법대로 48시간 안에 조기수술을 하였고, 나머지 39명은 기존처럼 4주 내외의 항생제 치료 후 상황에 따라 수술했다.
그 결과 조기에 적극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합병증 발생률은 37명 중 1명으로 2.7%에 불과했지만, 기존 방법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군에서는 같은 기간 동안 39명 중 11명에게 뇌경색, 동맥협착 등의 질병이 발생해 28.2%의 높은 합병증 발병률을 보였다.
기존 치료법대로 항생제를 맞고 세균을 조절하는 4주의 시간동안 오히려 심장판막 기능이 빠른 속도로 악화됐고 색전증으로 인해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한 것이다.
강 교수는 "색전증의 65%가 뇌혈관을 침범하고 결과적으로 전체 심내막염 환자의 20∼40%에서 뇌경색으로 인한 사망 및 장애가 동반되므로, 심내막염 환자의 최선의 치료를 위해서는 조기부터 적극적으로 수술해야 한다"며 "심내막염을 감기와 혼동하다 생명이 위협받는 경우도 많은 만큼, 심장판막증이 있는 환자들은 7일 이상 치료를 받아도 고열, 오한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심내막염을 의심하고 정확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 오늘의 핫뉴스
▶ 김연아 프랑스언론, 섹시 아시아 운동선수 1위 “역시 글로벌대세”
▶ 스티븐 호킹 뇌 해킹, 생각만으로 의사소통 “텔레파시 현실화?”
▶ 여름철 뜨거운 車 실내, 간단히 식히는 법
▶ 유명 연예인들 어떻게 다이어트 성공했을까?
▶ 전설이 된 ‘407억원’…당첨금으로 본 로또 500회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